주식 투자 초보자라면 PER, PBR, EPS, ROE 같은 기본 용어를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이 용어들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지표적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투자 필수 용어 4가지를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PER (주가수익비율)이란?
PER(Price Earnings Ratio)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현재 이익 대비 얼마나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쉽게 말해, PER이 높으면 시장에서 그 기업이 미래 성장성이 크다고 평가받고 있는 것이고, 낮으면 현재 이익 대비 저평가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PER 계산 공식: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가가 50,000원이고, 주당순이익(EPS)이 5,000원이라면, PER = 50,000 ÷ 5,000 = 10배가 됩니다. 즉, 현재 주가는 연간 순이익의 10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PER(퍼)가 열배다 라는 의미가 이 뜻입니다.
PER이 낮은 기업은 가치주, 높은 기업은 성장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PER만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하기보다는, 동종 업계 평균 PER과 비교하거나, 다른 지표와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BR (주가순자산비율)이란?
PBR(Price to Book Ratio)은 기업의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입니다.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자산 - 부채) 대비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냅니다.
PBR 계산 공식: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가가 40,000원이고, 주당순자산(BPS)이 20,000원이라면, PBR = 40,000 ÷ 20,000 = 2배입니다. 즉, 시장에서는 이 기업의 자산가치를 2배로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PBR이 1보다 작으면 주가가 순자산보다 낮아 '저평가'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1보다 크면 시장에서 그만큼 프리미엄을 받고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PBR이 낮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투자 대상은 아니며, 기업의 재무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EPS (주당순이익)이란?
EPS(Earnings Per Share)는 기업이 벌어들이는 순이익을 총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즉, 주식 1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EPS 계산 공식: EPS = 순이익 ÷ 발행 주식 수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한 해 동안 100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고, 총 발행 주식 수가 1,000만 주라면, EPS = 100억 ÷ 1,000만 = 10,000원입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는 의미이며, 투자자들은 EPS가 꾸준히 증가하는 기업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일시적인 이익 증가보다는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더 중요한 요소입니다.
ROE (자기자본이익률)이란?
ROE(Return on Equity)는 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투자된 자본 대비 수익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ROE 계산 공식: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순이익이 50억 원이고, 자기자본이 500억 원이라면, ROE = (50억 ÷ 500억) × 100 = 10%
ROE가 높을수록 기업이 자기자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투자자들은 ROE가 꾸준히 높은 기업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부채가 많아 ROE가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으므로 부채비율과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PER, PBR, EPS, ROE는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인 지표입니다. 하지만, 이 지표들만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기업의 전반적인 재무 상태와 시장 흐름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 투자는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만큼, 다양한 분석 도구를 함께 활용하여야 합니다.